항렬도





연안김씨 항열자(行列字)

현재 우리 연안김씨에는 두줄기 항렬체계가 있다. 그 하나는 장파계통인 호부원외랑계 개성부윤공파에서 쓰고 있는 항렬체계이고, 다른 하나는 지파전체와 장파일부에서 통일적으로 쓰고 있는 항렬체계다. 두 체계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항렬자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체로 이름에 돌림자(字)를 가지고 있다. 형제들은 형제들대로 아버지의 형제나 할아버지의 형제는 또 그들대로 이름자 속에 돌림자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상(世系上) 같은 세대에 속하면 4촌이든 6촌이든 8촌이든 같은 돌림자를 씀으로써 형제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그래서 사람의 성명 석자를 보면 그의 본관과 그 씨족의 어느 세대에 속하는 가를 쉽사리 알 수 있게끔 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혈족의 방계(傍系)에 대한 대수(代數)를 나타내는 돌림자를 곧 항렬(行列)이라고 한다.

그래서 웬만한 사람들은 자기집안의 내력이나 족보에는 관심이 없더라도 자기 웃대나 아랫대의 항렬자가 무엇인가쯤은 상식적으로 알고 있게 마련이다. 또한 지난날에는 어떠한 사람의 이름자가 그 성씨의 항렬자에 맞지 않을 때는 그 사람의 가문이 별수 없는 집이라고 추측하기도 하였다. 동성동본끼리 초면인사를 나누면 곧 동항. 숙항. 조항등의 서열을 알게 되는 것이 곧 항렬에 의해서이다.
그러면 항렬자는 언제 어떻게 누가 정하는 것인가. 항렬자는 종중.문중에서 유사(有司-문중 임원) 들이 상의해서 미리 정하는데 대개 족보(族譜)를 편찬할 때 일정한 대수까지 앞으로 생겨날 자손들의 항렬자와 그 쓰는 방법을 정하게 마련이다. 항렬자를 만드는 법칙으로서 가장 보편적인 것은 金.水.木.火.土의 오행(五行)을 순환적으로 쓰고 있고, 그외에 子丑寅卯 혹은 甲乙丙丁 등의 千支법과 一二三四 등 숫자를 쓰는 씨족도 있다.

그러면 우리 연안김씨는 언제부터 어떤 항렬자를 써왔나를 알아보기로 한다.
시조 박사공은 한(漢)자인듯 하고, 2世는 준(俊)자, 3世는 성(成)자, 4世는 의 변(邊)으로서 그때까지 세대별 항렬자가 같았다. 그러던것이 5世에서부터 큰집 작은집의 항렬자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큰집인 호부원외랑계(戶部員外郞系)의 5.6.7世의 3대는 정한자가 없었던 것 같고 8世에 와서 安자 9世에 와서 壽자 11世 休자등 항렬이 같으나 그 아래로 내려가서는 다시 파종이 갈림에 따라 각 종중. 문중들이 제각기 항렬자를 다르게 쓰고 있었던 것을 족보상에서 볼 수 있다.

개성부윤공파의 정주종중(定州宗中)에서 五行법칙에 의하여 항렬을 통용하기는 25世 즉 煥字부터이고 삭주종중(朔州宗中)에서는 23世 鎭字이었으며 곽산종중(郭山宗中)에서는 나름대로 항렬자를 정하여 써내려왔으나 법칙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한편 제주도의 한림학사공파(翰林學士公派)도 세대별로 대략 항렬자를 써 왔으나 법칙은 별달리 없었던 것 같다. 공부전서공파(工部典書公派)도 별도로 항렬을 정해서 써왔다. 그러나 그중 일부가 임자대보때에 합보(合譜)하게 됨을 계기로 대장군공계(大將軍公系)의 항렬자를 쓰기 시작했다.

한편 작은집인 대장군공계(大將軍公系)에서는 5世에 光자, 6世에 水변, 7世에 知자로 내려오다가 8世에 와서 문정공계(文靖公系) 9형제분이 人변, 문익공계(文翼公系) 3형제분은 日변, 예빈시윤공계(禮賓寺尹公系) 4형제분과 목사공계(牧使公系) 형제분이 水변으로 휘자를 지었으나 그아래 9世부터는 각파가 자기 나름대로 항렬자를 정하여 써오다가 17世 相자에서부터 대부분의 동계파종에서 공통항렬을 써왔으니 이는 1719년 기해보(己亥譜)편찬당시 종의(宗議)로 정한 관계이며 이때부터 金.水.木.火.土의 상생오행(相生五行)에 의한 법칙을 세운 것이다.